예산 제도
1. 품목별 예산제도 (Line Item Budgeting System, LIBS)
정의: 예산을 품목별로 분류하여 각 품목의 지출 항목과 한계를 명확히 규정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 통제 기능 강조: 지출 항목이 명확하여 회계 책임을 분명히 할 수 있습니다.
- 장점: 지출 항목 파악이 용이하고 감시가 쉬움.
- 단점: 지출 이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신축성이 떨어짐.
2. 성과주의 예산제도 (Performance Budgeting System, PBS)
정의: 예산을 기능별, 사업계획별로 분류하여 지출과 성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 성과 중심: 정부가 어떤 성과를 달성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예산을 편성합니다.
- 효율성 증대: 정부의 효율성을 높이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역사적 배경: 1980년대 중반 이후 선진국에서 도입되어 재정개혁의 주요 목표로 설정됨.
3. 계획예산제도 (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System, PPBS)
정의: 장기적인 계획과 목표를 기반으로 예산을 편성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 계획 기능 강조: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 재원 배분이 이루어집니다.
- 체계적 접근: 각 프로그램의 목표와 자원을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합니다.
4. 영기준 예산제도 (Zero Base Budgeting, ZBB)
정의: 매 회계연도마다 모든 지출 항목을 '제로'에서 시작하여 필요성을 검토한 후 예산을 편성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 감축 기능 강조: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모든 항목 재검토: 매년 모든 지출 항목을 새롭게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5. 프로그램 예산제도 (Program Budgeting System)
정의: 전략적 재원 배분과 재정 효과 극대화를 목표로 하여 사업별로 예산을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 성과지표 체계와 연계: 프로그램별 성과 목표 및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합니다.
- 조직 및 정책 목적에 맞춘 구조 개편: 과목 구조를 개편하여 효율성을 높입니다.
6. 자본예산제도
정의: 자본적 지출에 대한 예산을 별도로 편성하여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특징:
- 장기 투자 중점: 인프라 구축 및 대규모 프로젝트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7. 조세지출예산제도
정의: 세금 감면이나 세액 공제를 포함한 조세 지출을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특징:
- 세입 분석 및 평가: 조세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 평가합니다.
관련자료
[행정학] 주요 개념 정리
목차행정학을 공부하면서 주요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여러분의 행정학 공부에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즐겨찾기에 등록해 간편하게 찾아보세요! 25년 1월부터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jkcb.tistory.com
프로그램 예산제도 - 열린재정
https://www.openfiscaldata.go.kr/op/ko/bs/UOPKOBSA05
열린재정 재정정보공개시스템 | 재정연구분석
공유 버튼보기 이전 공유하기 프로그램 예산제도 소개 프로그램 예산제도(Program Budgeting System)란? 성과지향의 예산체계로 1. 전략적 재원배분과 재정효과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며, 2. 성과계획 예
www.openfiscaldata.go.kr
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1450
[시사경제용어사전] 성과주의예산제도
예산을 기능별, 사업계획별, 활동별로 분류하여 예산의 지출과 성과의 관계를 명백히 하기 위한 예산제도를 말한다. 종래의 품목별 예산은 정부가 구입코자 하는 물품이나 용역을 표시하는 데
www.moef.go.kr
https://ko.wikipedia.org/wiki/%ED%92%88%EB%AA%A9%EB%B3%84_%EC%98%88%EC%82%B0%EC%A0%9C%EB%8F%84
품목별 예산제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품목별 예산제도(品目別 豫算制度, Line Item Budgeting)는 예산을 품목별로 분류하고, 지출 대상과 한계를 명확하게 규정하는 통제 지향적인 예산 제도이다. 품목별
ko.wikipedia.org
예산제도의 개혁 : 성과주의를 중심으로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https://repository.kipf.re.kr/handle/201201/3620
Open Access Korea Repository for KIPF: 예산제도의 개혁 : 성과주의를 중심으로
예산제도의 개혁 : 성과주의를 중심으로 Keyword 발생주의, 성과중심, 투입위주제도 Title예산제도의 개혁 : 성과주의를 중심으로 Authors박기백; 최준욱 Issue Date1999-12-01 PublisherKIPF Pagepp. 190 Abstract성
repository.kipf.re.kr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필요성과 정착방안
>예산제도란 예산에 관한 모든 법적규제를 포괄하는 장치로서 예산의 구조와 법적성격 및 예산의 편성, 집행, 감독에 관한 일체의 법적규제를 말한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정부기능이 확대되고
www.kci.go.kr
서울특별시 참여예산 - 성과주의 예산제도
https://yesan.seoul.go.kr/sch/sch030304.do
성과주의 예산제도 < 예산의 이해 < 자료실 | 서울특별시 참여예산
예산(Budget)이란 일정기간에 있어서의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입니다. 즉 일정기간에 의도하는 행정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재원을 얼마나 조달할 것이며 조달된 재
yesan.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