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행정학

[행정학] 디지털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교육 사례 정리

InfHo 2025. 2. 20. 22:24

디지털리터러시-구성요소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 능력입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기술과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며,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단순히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 디지털 세상에서 똑똑하게 살아가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

  1.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능숙하게 다루는 능력
  2. 정보 검색 및 평가 능력: 필요한 정보를 찾고, 그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능력
  3.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 디지털 도구를 사용해 새로운 내용을 만들어내는 능력
  4. 온라인 소통 능력: 디지털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
  5. 디지털 윤리 이해: 온라인에서의 올바른 행동과 태도를 아는 능력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

  1. 정보화 사회 적응: 스마트폰으로 맛집을 검색하거나, 온라인 뱅킹을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술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2.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 가짜 뉴스를 구별하고,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3. 새로운 기회 창출: 예를 들어, A씨는 방향제 만들기 취미를 살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판매를 시작해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4. 삶의 질 향상: C씨라는 독거노인은 AI 스피커를 통해 외로움을 달래고, 긴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사례

  1. 대학교 교육: 연세대학교의 Y-DEC(Yonsei Digital Experience Center)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기기와 소프트웨어 활용 관련 워크샵과 세미나를 제공합니다.
  2. 중고등학교 교육: 미국의 한 고등학교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선택과목을 통해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는 수업을 진행합니다.
  3. 중학교 교육: 부산시교육청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팁

  1. 다양한 디지털 도구 사용해보기: 새로운 앱이나 프로그램을 두려워하지 말고 사용해보세요.
  2. 온라인 강좌 수강하기: 관심 있는 주제의 온라인 강좌를 들어보세요.
  3. 디지털 정보 검증하기: 뉴스를 읽을 때 여러 출처를 비교해보세요.
  4. 디지털 콘텐츠 만들어보기: 블로그 글쓰기나 영상 편집 등을 시도해보세요.
  5.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하기: 관심사를 공유하는 온라인 그룹에 가입해보세요.

디지털 리터러시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버스 도착 시간을 확인하는 것부터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것까지, 모두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을 키움으로써, 우리는 디지털 시대를 더욱 스마트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사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사례는 다양한 교육 기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중고등학교 사례

미국 코네티컷 주 고등학교

  • '디지털 리터러시' 선택과목 운영
  • 목표: 학생들이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생각해보도록 함
  • 특징: 기술적 측면보다 인문학적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

부산시 중학교

  • 부산시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
  • 2020년부터 일부 학교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연구학교로 지정하여 운영
  • 교육 내용:
    • 가짜뉴스 구분
    • 디지털 미디어 활용
    • 코딩
    • 공유와 디지털 협업
    • 디지털 에티켓
    • 빅데이터 분석
    • 사이버 불링
    • 저작권과 개인정보 보호
    • 댓글 커뮤니케이션
    • 동영상 촬영 및 제작
    • 건강한 정보 검색과 소비
    • 디지털 디자인과 음악

대학교 사례

명지대학교

  • "MJU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봉사단 육성프로그램" 운영
  • 목적:
    1. 재학생의 디지털 소양 강화
    2. 지역사회 청소년 대상 교육 봉사를 통한 대학의 사회적 가치 실현
  • 교육과정:
    1.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활용 (실시간 비대면, 12시간)
    2.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활용 (초급반, 현장진행, 8시간)
    3. AI인공지능 코딩 (중급반, 현장진행, 8시간)
  • 활동 사항:
    • 교육과정 이수 및 주차별 과제 수행
    • 지역청소년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배움터 교육 캠프 활동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 "디지털인문학리터러시" 연계전공 운영
  • 목표:
    1. 디지털 인문학/리터러시의 개념, 목표, 철학, 방법 학습
    2. 이를 실제로 활용 및 구현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배경: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융합형 인재 양성

국외 대학 사례 연구

한 연구에서는 10개 국외 대학의 디지털 리터러시 입문 과정 강의계획서를 분석했습니다. 이 연구는 각 기관에서 어떤 내용과 가치를 가르치고 있는지, 그리고 이론적 논의와 어떻게 교차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맥락에 맞는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사례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단순한 기술 활용을 넘어 비판적 사고력, 창의성, 윤리의식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능력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관련 자료

[행정학] - [행정학] 주요 개념 정리

 

[행정학] 주요 개념 정리

목차행정학을 공부하면서 주요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여러분의 행정학 공부에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즐겨찾기에 등록해 간편하게 찾아보세요! 25년 1월부터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jkcb.tistory.com

 

https://ko.wikipedia.org/wiki/%EB%94%94%EC%A7%80%ED%84%B8_%EB%A6%AC%ED%84%B0%EB%9F%AC%EC%8B%9C

 

디지털 리터러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보 격차는 디지털 리터러시 형성의 큰 장애물이다. 그 때문에 오히려 노인이 청년에게 디지털 기기의 활용법을 배우는 경우도 흔하다. 디지털 리터러시(digita

ko.wikipedia.org

 

https://if-blog.tistory.com/13288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를 읽는 능력을 키워라

정보는 많은데 이걸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인터넷에서 정보가 너무 많은데 거기서 뭐가 진짜고 가짜인가 구분하기 힘들어요. 인터넷과 매체의 발달로 우리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if-blog.tistory.com

 

https://keris.or.kr/main/ad/pblcte/selectPblcteRRInfo.do?mi=1138&pblcteSeq=13645

2022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지식정보 - KERIS 보고서 - 연구보고서 - 상세화면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keris.or.kr

 

https://use.go.kr/uldilit/literacy/literacy_2.jsp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

 

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921

 

부산시교육청의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돋보이는 이유 - 이코리아

[이코리아]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1997년에 처음 소개된 개념으로, ‘컴퓨터를 통해 다양한 출처로부터 찾아낸 여러 정보를 이해하고, 자신의 목

www.ekoreanews.co.kr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47382797

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콜라

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의 이용 수, 등재여부, 발행기관, 저자, 초록, 목차, 참고문헌 등 논문에 관한 다양한 정보 및 관련논문 목록과 논문의 분야별 BEST, NEW

scholar.kyobobook.co.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1768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를 탐색하였다.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정보와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와 과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www.kci.go.kr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6942164

[학위논문] 학교급별 디지털 리터러시 자기 이해 정도 판별 기준 설정 연구

 

[논문]학교급별 디지털 리터러시 자기 이해 정도 판별 기준 설정 연구

이 연구는 학교급별 디지털 리터러시 자기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그 정도를 구분할 수 있는 적절한 기준선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기술 발전에 따라 읽고 쓰는 환

scienceon.kisti.re.kr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900002179

[국가R&D연구보고서]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중학교의 주요 교과를 중심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를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함양을 위한 실제적

scienceon.kisti.re.kr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26ee157546b48ebffe0bdc3ef48d419

중 · 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중심으로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m.riss.kr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570721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0, (44), 145

www.kci.go.kr

 

https://www.mju.ac.kr/mjukr/255/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bWp1a3IlMkYxNDElMkYyMTExNTYlMkZhcnRjbFZpZXcuZG8lM0Y%3D

2024-1학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봉사단 육성프로그램 참여 학생 모집 안내

 

2024-1학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봉사단 육성프로그램 참여 학생 모집 안내

<p class="0" style="line-height: 140%;"><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자연캠퍼스 학생지원팀에서는 우리 대학 재학생의 디지털 소양 강화 및 지역사회 교육 봉사를 위한 </span><span style="font-fami

www.mju.ac.kr:44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95272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을 설계하는 데에 필요한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고 앞선 수업 사례를 검토하여 앞으로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설계에 필요한

www.kci.go.kr

 

https://ywyongei.yonsei.ac.kr/yongei/process/digital_humanities_literacy.do

 

미래캠퍼스 연계전공 | 전공별연계전공 | 디지털인문학리터러시

디지털인문학리터러시 연계전공이란?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컴퓨팅 또는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에 있는 학문 영역이다.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 연구에서 디지털 자원을 체

ywyongei.yonsei.ac.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36357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리터러시 수업 사례

현재 디지털 사회로의 이동은 초고속으로 진행되고 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그러나 아직 우리나라 대학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문해력에 초점을 맞춘 글쓰기

www.kci.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