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의 이해
전자정부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행정 서비스와 정보를 전자적으로 제공하는 정부 시스템입니다. 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국민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전자정부의 개념과 특징
1. 정의
전자정부는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행정 업무를 전자화하여 국민과 기업에게 효율적이고 투명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 운영 방식입니다.
2. 주요 특징
- 정보기술 기반: 인터넷, 모바일 등 첨단 IT 기술 활용
- 효율성 향상: 행정 처리 속도 개선 및 비용 절감
- 투명성 제고: 정보 공개를 통한 행정의 투명성 확보
- 접근성 강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서비스 제공
3. 목표
-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제공
- 행정 효율성 증대
- 민주주의 발전 도모
한국의 전자정부 발전 과정
1. 도입기 (1990년대)
- 1993년: 전자정부 개념 도입
- 1995년: 정보화촉진기본법 제정
2. 성장기 (2000년대 초반)
- 2001년: 전자정부법 제정
- 2003년: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로드맵 수립
3. 고도화기 (2000년대 중반 이후)
- 2006년: 범정부 포털사이트 구축
- 2010년, 2012년, 2014년: UN 전자정부 평가 1위 달성
한국 전자정부의 주요 서비스 사례
- 정부24 (www.gov.kr): 통합 전자민원 창구
예시: 주민등록등본 발급, 자동차 등록, 여권 신청 등 - 홈택스 (www.hometax.go.kr): 국세청 전자세금 서비스
예시: 연말정산, 부가가치세 신고, 현금영수증 발급 등 -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www.g2b.go.kr): 공공기관 물품 구매 및 계약 관리
예시: 입찰 공고, 전자 계약, 대금 지급 등 - 온라인 민원 서비스: 각종 증명서 발급 및 민원 신청
예시: 출생신고, 혼인신고, 이사 신고 등
전자정부의 장점
- 시간과 비용 절감:
예시: 주민등록등본 발급 시 동사무소 방문 불필요, 24시간 서비스 이용 가능 - 행정 투명성 향상:
예시: 정보공개포털을 통한 정부 정책 및 예산 정보 공개 - 국민 참여 확대:
예시: 국민신문고를 통한 민원 제기 및 정책 제안 - 맞춤형 서비스 제공:
예시: 개인별 맞춤 복지 서비스 안내
전자정부의 과제와 전망
- 정보 보안 강화: 개인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 대책 마련
- 디지털 격차 해소: 고령자, 장애인 등 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 확대
- 신기술 도입: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지능형 정부 서비스 개발
- 국제 협력 강화: 전자정부 시스템 수출 및 국제 표준화 주도
전자정부는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을 통해 더욱 편리하고 스마트한 정부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자료
[행정학] 주요 개념 정리
목차행정학을 공부하면서 주요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여러분의 행정학 공부에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즐겨찾기에 등록해 간편하게 찾아보세요! 25년 1월부터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jkcb.tistory.com
[행정학/행정학] - [행정학] 전자정부와 디지털정부의 비교
[행정학] 전자정부와 디지털정부의 비교
구분전자정부디지털정부 (디지털플랫폼정부)주요 목표행정 업무 혁신 및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데이터 융합을 통한 맞춤형, 선제적 서비스 제공데이터 관리개별 시스템 중심, 부처별 데이터 관
jkcb.tistory.com
https://www.mois.go.kr/frt/sub/a06/b04/egovLawSystem/screen.do
행정안전부> 업무안내> 디지털정부혁신실> 디지털정부 총괄> 전자정부 법령 및 제도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ois.go.kr
전자정부사업의 행정투명성 제고효과 분석
각국 정부가 전자정부사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는 상황 하에서, 우리 정부는 2001년 2월부터 11개 전자정부사업을 적극 진행하고 있다. 전자정부는 대 국민 서비스와 행정의 효율성 및 투명성을
www.kci.go.kr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9E%90%EC%A0%95%EB%B6%80
전자정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재 이 문서는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
ko.wikipedia.org
민관협력에 의한 전자정부 구현의 성공 요인-홍콩의 ESD Life 전자정부사이트를 중심으로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정부 운영상의 변화는 전자정부의 구현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정부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부 혁신활동을 통해 새로운 정부의 체
www.kci.go.kr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684&bcIdx=3205
[연구논문]한·미·일의 전자정부 구축 사례에 대한 국제 비교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bcIdx=3205&cbIdx=65684
[연구논문]한·미·일의 전자정부 구축 사례에 대한 국제 비교 1996.09.01 조회수 4692 - 한·미·일의 전자정부 구축 사례에 대한 국제 비교 - 송희준(이화여대 기획처장, 행정학과 교수) 목 차 I. 전자
www.nia.or.kr
한국의 전자정부: 성과와 과제
경쟁력 등 국가간 역량의 우열을 평가하는 수많은 지표들 중에서 한국의 전자정부만큼은 국제사회로부터 성공사례로 인용되고 있다. 1987년도에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1/5 내지 1/8 수준에 지나
www.kci.go.k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86528
전자정부와 정부신뢰의 관계에 관한 연구 | DBpia
윤상오 |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2015.12
www.dbpia.co.kr
https://spri.kr/posts/view/22786?code=data_all&study_type=industry_trend
4차 산업혁명 시대, 전자정부 진화 동향 - SPRi
최근 전자정부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신기술의 등장과 시스템의 노후화 및 사용자 요구사항의 변화와 맞물려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지방세행정정보 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spri.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