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행정학

[행정학]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행정의 사례

InfHo 2025. 2. 13. 12:33

빅데이터행정-활용영역
빅데이터행정의 활용영역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활용 사례

2022년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례집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우수사례들이 있습니다:

  • 광주광역시: 관내 취약지역 CCTV·LED비상벨 설치 최적 입지 분석
  • 경상북도: 지역화폐 빅데이터 분석
  • 서울 종로구: 데이터기반 1인가구 분석
  • 서울 성동구: 생활밀착형 지표·E+ESG 지표 개발
  • 서울 광진구: 길고양이 민원 빅데이터 분석
  • 인천 미추홀구: GIS와 범죄 예방 환경설계 기반 범죄 취약지 분석
  • 충남 당진시: 밀원수 개화 시기 양봉 농가 위치기반 꿀 수확지 확보 분석
  • 경남 양산시: 인공지능·민간 클라우드 데이터를 융합한 지역축제 분석

2021년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례

2021년 사례집에는 다음과 같은 우수사례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사회·경제적 세수추계 기반 지자체 가용재원 예측모델
  •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빅데이터로 찾은 느린 여행, 슬로우로드
  • 서울 성동구: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성동
  • 서울 광진구: 해충발생 예측 및 방역 최적화 빅데이터 분석
  • 강원 춘천시: 빅데이터로 본 코로나19 발생 전후 주요 지역 상권 분석
  • 충남 당진시: 버스정류장 승하차 현황 및 노선 최적화 빅데이터 분석
  • 전남 구례군: 재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3년 공공부문 데이터 분석·활용 우수사례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우수사례집에는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세계 최초 범죄조직 잡는 한국형 음성분석모델
  • 울산광역시 울주군 에너지정책과: 울주형 재난관리시스템
  • 한국교통안전공단 디지털혁신처: 교통 빅데이터로 지정한 '노인보호구역'
  • 한국도로공사 ITS처: AI 기술을 활용한 고속도로 낙하물 사고 예방
  • 빅데이터를 활용한 식품 제조공정 관리

빅데이터 행정의 활용 영역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방행정의 빅데이터 활용 영역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됩니다:

  1. 이상 현상 감지 및 대응
  2. 가까운 미래 예측 및 대응
  3. 분석된 상황 대응 및 새로운 정책(행정 서비스) 개발
  4. 시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

빅데이터 활용 전략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전략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단계적 접근
  • 사용자의 요구분석
  • 주요성공요소 기반 추진
  • 시범사업 실시
  • 성과평가 실시 및 인센티브 제공
  • 공통기반 구축

이러한 다양한 사례들은 빅데이터가 행정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서울특별시의 인공지능 행정 사례

서울시는 2025년 현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다양한 행정 혁신을 통해 시민 편의와 공무원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2024년 4월에 발표된 'AI 행정 추진계획'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 매력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AI 기반 서비스

  • 챗봇 '서울톡': 24시간 서울시정 정보를 제공하는 AI 상담사 역할
  • 디지털 성범죄 AI 삭제 지원 프로그램: 온라인 불법 콘텐츠 제거에 AI 기술 활용
  • AI 기반 지능형 CCTV: 인파 관리 및 안전 모니터링에 활용. 2026년까지 안전취약지역의 모든 CCTV를 지능형 시스템으로 전환 예정
  • 스마트 안부확인 서비스: AI가 혼자 사는 어르신에게 주기적으로 자동 전화를 걸어 움직임 감지 및 모니터링
  • 119 종합상황 관리체계: 신고 음성을 분석해 긴급도와 위험징후 파악
  • 온라인 불법‧유해 콘텐츠 AI 자동 검출 시스템: 온라인 상의 불법 콘텐츠를 AI가 자동으로 검출
  • 120 스마트 인공지능 상담센터: 시민 편의를 높이기 위한 AI 기반 상담 서비스
  • 생성형 AI 기반 공공데이터 챗봇: 내부 행정데이터 등 6000여종을 분석해 맞춤 정보 제공
  • 실시간 동시대화 지하철 이용 시스템: 13개 언어로 언어장벽 없는 지하철 이용 지원
  • 서울관광 생성형 다국어 챗봇: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국어 지원 서비스
  • AI 기반 산불감시 시스템: 드론과 열화상 CCTV를 활용한 산불 조기 발견 및 초기대응
  • AI 기반 스마트교차로: 교통 신호를 최적화해 혼잡을 방지하는 시스템

AI 행정 추진 전략

인공지능행정-추진전략
인공지능행정의 추진전략

 

  1. 신뢰받는 AI 행정기반 마련
  2. AI 이용환경 조성
  3. AI 행정혁신 가속화

투자 계획 및 공무원 교육

  • 투자 계획: 3년간 총 2064억원 투입 예정
  • 공무원 AI 교육:
    • - 전년 대비 두 배 증가한 약 1300명의 공무원 대상 교육 실시
    • - 생성형 AI 기업 실무자, 전문가 초빙 특강 진행
    • - 생성형 AI를 활용한 업무 생산성 향상 교육 제공

AI 업무방식 혁신

  • 서울시 자체 생성형 AI 모델 개발: 문서 작성 자동화 및 데이터 분석 강화
  • 단순‧반복 업무 자동화(RPA): 공무원 생산성 향상 도모
  • AI 보안관제 플랫폼 운영: 개인정보 보호 강화 및 보안 사고 예방

국민신문고 시스템의 AI 활용 사례

'국민신문고'는 정부대표 전자민원시스템으로, AI 기술을 통해 민원 처리 효율성과 반응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주요 활용 사례

  • 민원처리 효율성 및 반응성 개선: 개별 민원인의 고충민원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AI 기술 활용.
  • 정책문제 탐색: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잠재적 정책 이슈를 발견.
  • 공론화와 시민참여 촉진: AI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문제에 대한 시민 참여 유도.
  • 부처별 정책현안 대응: 각 부처의 정책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결과 제공.
  • 제도 개선: 민원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도 개선 추진.

이처럼 인공지능은 행정 전반에서 효율성과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행정학] - [행정학] 주요 개념 정리

 

[행정학] 주요 개념 정리

목차행정학을 공부하면서 주요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여러분의 행정학 공부에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즐겨찾기에 등록해 간편하게 찾아보세요! 25년 1월부터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jkcb.tistory.com

 

https://bigdata.gyeongnam.go.kr/board/view.gn?boardId=BBS_0000002&menuCd=DOM_000000111004000000&dataSid=11696

2023년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례집 - 경남 빅데이터 허브 플랫폼

 

소개·참여 > 자료실 > 2023년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례집

자료실 2023년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례집 관리자 2024.03.14 3003 본 사례집은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9건의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분석 설계부터 결과까

bigdata.gyeongnam.go.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47636

 

사례분석을 통한 지방행정의 빅데이터 활용 전략

빅데이터의 가치가 인식되고 정부 3.0이 발표되면서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각 부처나 지방자치단체에 구체적인 추진 대안이나 전략이 취약한 상황에서 빅데이터를 체

www.kci.go.kr

 

https://bigdata.seoul.go.kr/noti/selectPageListTabNoti.do?r_id=P260&bbs_seq=548&ac_type=A2

데이터 분석 사례 - 서울특별시 빅데이터 캠퍼스

 

서울특별시 빅데이터 캠퍼스

- 배달음식 수요증가, 일회용품 사용증가, 1인가구 증가하고 있는 상황과 205 인천시 매립장 사용종료까지 맞물려 현재 서울시는 쓰레기문제를 심각하게 겪고 있다. 심지어 우리나라 플라스틱 실

bigdata.seoul.go.kr

 

https://www.innovation.go.kr/ucms/bbs/B0000003/view.do?nttId=15931&menuNo=300193

[사례집] 2023 공공부문 데이터 분석·활용 우수사례집 - 혁신24

 

혁신24 - 정부혁신 홈페이지

정부혁신 보다나은정부

www.innovation.go.kr

 

https://www.data.go.kr/data/15060254/fileData.do

행정안전부 한국지역정보개발원_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례 - 공공데이터포털

 

행정안전부 한국지역정보개발원_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례_20191231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업 활성화를 위해 KLID 소관 정보시스템 보유 데이터를 활용한 신규모델 개발 사례 및 자치단체 우수사례를 정리한 사례집

www.data.go.kr

 

https://news.seoul.go.kr/gov/archives/556456

 

행정에 인공지능 더해 시민생활 혁신… AI 가장 잘 활용하는 서울 만든다

서울시가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행정혁신으로 시민 편의와 공무원 업무 효율을 동시에 높인다. AI를 행정에 가장 잘 활용해 더 많은 시민에게 더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로 거듭난다는

news.seoul.go.kr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c6878f14a189f04e9810257f7042666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민원·복지서비스 혁신 방안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였다. 지난 2016년 1월 다보스 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 화두로 등장한 이 개념은 AI, Big Data, IoT 등의 지능정보기술 발달

m.riss.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51378

 

지방자치단체 인공지능(AI) 활용의 우려와 대안

지방자치단체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거, 교통, 청소, 복지 등을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어서 인공지능 CCTV,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행정서비스나 정책결정과

www.kci.go.kr

 

http://klidwz.or.kr/webzine/vol139/sub_2_3_02.html

ChatGPT,지방자치단체 활용방안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지역정보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웹진

klidwz.or.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5309

 

인공지능 시대의 민주주의와 행정 : 「국민신문고」 민원시스템 고도화 사례를 중심으로

공공부문에 인공지능 도입과 활용이 확대되면서, 민주주의의 디지털 혁신 가능성과 조건에 대한논의가 활발하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혁신과 인공지능 도입이 가져올 민주주의의 변화에 대

www.kci.go.kr

 

https://www.mois.go.kr/frt/bbs/type013/common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uufPUwl+HBfGPBKW1DI0sZe4.node20?bbsId=BBSMSTR_000000000006&nttId=105921

 

2023 공공분야 초거대 AI 활용사례·아이디어 공모전 활용사례 분야 수상작 발표 |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ois.go.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5307

 

인공지능을 통한 행정의 고도화 : 기회와 도전

인공지능기술이 폭발적으로 진화하고 있고 민간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행정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간 디지

www.kci.go.k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49040

 

행정학을 중심으로 본 빅데이터와 경험적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 제고 | DBpia

김선영 | 지방정부연구 | 2020.5

www.dbpia.co.k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91855

 

인공지능 기술의 행정 활용에 관한 연구동향 및 쟁점 분석 | DBpia

정소윤 |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2019.12

www.dbpia.co.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02289

 

행정서비스에서 빅데이터 활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데이터 품질관리를 중심으로

Compared to private field, the usage and spread of big data in public field are proceeded based on the aspect of infrastructure and the quality control of big data. Thus, it is necessary to conceive big data as a key resource, and attain the ability to rea

www.kci.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