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행정학

[행정학] 행정윤리란 무엇인가?

InfHo 2025. 2. 12. 14:36

행정윤리-개념

 

행정윤리란?

행정윤리공무원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직무를 수행하면서 지켜야 할 행동 규범과 도덕적 기준을 의미합니다. 이는 공직자가 국민 전체의 봉사자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기 위해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윤리적 원칙을 포함합니다.

행정윤리의 주요 개념

  1. 공직자의 행동 기준:행정윤리는 공직자가 직무 수행 중 올바른 판단과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규범적 기준입니다. 이는 법적 의무뿐 아니라 도덕적 책임까지 포함합니다.
  2. 부정부패 방지:행정윤리는 부정부패를 예방하고, 공공정책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3. 시대와 사회적 변화 반영:행정윤리는 시대와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하며, 지속적으로 재정립되어야 합니다.

행정윤리의 중요성

  1. 국민 신뢰 확보:공직자의 윤리적 행동은 국민의 신뢰를 얻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행정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윤리적 기준이 더욱 강조됩니다.
  2. 사회적 책임 강화:공직자는 일반 시민보다 높은 수준의 윤리적 기준을 요구받으며, 이는 사회 전체의 공공선을 증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3. 행정의 공정성과 투명성 보장:윤리적인 행정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배제하고,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행정윤리 사례로 이해하기

사례 1: 선거관리위원회의 자녀 특채 논란

  • 문제: 선관위 고위직 공무원이 자신의 자녀를 특채한 사건이 발생.
  • 윤리적 문제점: 절차상 문제가 없더라도 공직자의 행동은 오해를 받을 소지가 없어야 합니다. 이는 "오이밭에서 신발 끈을 매지 말라"는 속담처럼 투명성과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사례 2: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의 주민 갈등

  • 문제: 재개발 과정에서 주민 보상 문제로 갈등 발생.
  • 윤리적 해결 방안: 공직자는 주민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고, 공정한 보상 기준을 마련해야 합니다.

행정윤리 확립을 위한 방안

  1. 윤리 교육 강화:공무원들에게 체계적인 윤리 교육을 제공하여 윤리적 판단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2. 투명한 제도 운영:정보 공개와 내부 감사를 통해 행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입니다.
  3. 법·제도 개선:현대 행정 환경에 맞는 새로운 윤리 규범과 법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행정윤리는 공직자가 국민에게 봉사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필수적인 규범이며, 이는 국민 신뢰와 공공 이익 증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관련자료

[행정학] - [행정학] 주요 개념 정리

 

[행정학] 주요 개념 정리

목차행정학을 공부하면서 주요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여러분의 행정학 공부에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즐겨찾기에 등록해 간편하게 찾아보세요! 25년 1월부터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jkcb.tistory.com

 

https://www.acrc.go.kr/board.es?mid=a10106000000&bid=119&act=view&list_no=14454&nPage=5

 

공직자 행동강령 주요 위반사례 | 전체 | 공직자 행동강령 | 부패방지 자료실 | 정책·정보 : 「반

「반부패 총괄기관」 국민권익위원회

www.acrc.go.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38483

 

행정윤리 교육의 한 방안으로서의 윤리 교육 SW 활용사례

>행정윤리의 확립은 단순히 공무원의 행위를 통제하는 윤리규칙이나 규정의 제정만으로 이루어 지는 것은 아니다. 행정윤리의 확립이란 급변하는 행정환경에 부응할 수 있도록 윤리의 기준을

www.kci.go.kr

 

https://www.acrc.go.kr/board.es?mid=a10105010300&bid=99&act=view&list_no=66539&nPage=1

 

공공기관 청렴윤리경영 컴플라이언스 가이드라인 개정본('23.6.) | 전체 | 청렴윤리경영 자료실 |

「반부패 총괄기관」 국민권익위원회

www.acrc.go.kr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20251

 

행정윤리에 대한 제한적인 윤리적 자연주의 접근

본 논문은 기존의 행정윤리에 대한 행정학 연구들이 공공행정의 도덕적 차원을 행정윤리에 대한 사회과학적 설명에서 잘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연구의 목적은 규범

www.kci.go.kr

 

https://www.klri.re.kr/kor/publication/1246/view.do

 

공직윤리제도 개선을 위한 법제분석 | 연구보고서 | 발간물 | 한국법제연구원 KLRI

Ⅰ. 배경 및 목적 □ 분석 배경과 목적 ○ 국제적인 평가에 비추어 보면,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 경제발전이나 기타 사회발전수준에 비해 공직의 청렴정도는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www.klri.re.kr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312be98f001e02f947de9c1710b0298d

우리나라 공직윤리 및 공직윤리제도에 관한 공무원과 국민 인식 비교 연구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m.riss.k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240807

 

우리나라 행정윤리 연구의 경향 분석 : 1967-2011 | DBpia

윤태범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013.8

www.dbpia.co.kr

 

https://www.kipa.re.kr/site/kipa/research/selectPublishView.do?gubun=FO&pblcteId=PUBL_000000000000243

 

행정포커스 - 한국행정연구원

  서론 최근 발생한 세월호 침몰사고는 사고에 이르게 된 과정은 물론 재난발생 이후 구조활동과 사후대책에서 드러난 총체적인 부실 때문에 우리 국민에게 씻어내기 어려운 깊은 상처를 남기

www.kipa.re.kr

 

반응형